맨위로가기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PAIGC)은 1956년 아밀카르 카브랄에 의해 결성되어 포르투갈령 기니와 카보베르데의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독립 이전에는 포르투갈에 대항한 무장 투쟁을 전개하여 1973년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선언했으며,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의 유일한 합법 정당이 되었다.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의 통일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1980년 쿠데타 이후 카보베르데 지부가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PAICV)으로 분리되었다. PAIGC는 기니비사우에서 다당제 도입 이후에도 여러 차례 집권했으며, 2023년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했다. PAIGC는 냉전 시기 사회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으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경제 발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니비사우의 역사 - 포르투갈령 기니
    포르투갈령 기니는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현재의 기니비사우 지역에 존재했던 포르투갈 식민지로,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아밀카르 카브랄의 독립운동을 거쳐 1974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을 승인받았다.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니-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로고
기니-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로고
약칭PAIGC
창립일1956년 9월 19일
본부비사우, 기니비사우
청년 조직아프리카 청년 아밀카르 카브랄
여성 조직기니 여성 민주 연합 (UDEMU)
이념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좌익 민족주의
아프리카 민족주의
범아프리카주의
과거:
마르크스주의
국내 연합포괄적 동맹 플랫폼 – 테하 혼카
국제 연대반제국주의 세계 플랫폼
국제 조직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자문)
상징색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슬로건Unidade e Luta ("단결과 투쟁")
웹사이트기니-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공식 웹사이트
지도자
대표도밍구스 시몽이스 페레이라
설립자앙리 라베리
아밀카르 카브랄
의회
국가인민의회 의석수47 / 102
기타
언어포르투갈어

2. 역사

PAIGC1956년 아밀카르 카브랄 등을 중심으로 포르투갈령 기니카보베르데의 독립을 목표로 결성되었다.[4] 초기에는 평화적인 독립을 추구했으나, 1959년 포르투갈 식민 당국에 의한 피지기우티 학살 이후 무장 투쟁 노선으로 전환했다.[4]

PAIGC는 1963년부터 기니비사우 독립 전쟁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며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맞섰다.[4] 이 과정에서 소련, 쿠바, 중화인민공화국사회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으며,[5][6] 1973년에는 당의 창립자이자 지도자였던 아밀카르 카브랄이 내부 분란으로 암살되는 비극을 겪기도 했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PAIGC는 투쟁을 지속하여 1973년 9월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선언했고, 이는 유엔의 승인을 받았다.[11]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발생하면서 기니비사우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이후 PAIGC는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에서 유일 합법 정당으로 양국을 통치했으나, 1980년 기니비사우에서 발생한 군사 쿠데타로 인해 카보베르데 지부가 분리되어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PAICV)으로 독립했다. 기니비사우에서는 주앙 베르나르두 비에이라의 장기 집권기를 거쳐 1991년 다당제가 도입되었고, 이후 선거를 통해 집권과 실권을 반복하며 현재까지 기니비사우의 주요 정치 세력으로 활동하고 있다.[12]

2. 1. 독립 이전 (1956년 ~ 1973년)

PAIGC는 1956년 9월 19일 비사우에서 '''아프리카 독립당'''(Partido Africano da Independênciap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다. 이 정당은 1954년 앙리 라베리와 아밀카르 카브랄이 만든 '포르투갈령 기니 민족 독립 운동'(Movimento para Independência Nacional da Guiné Portuguesapt)에 뿌리를 두고 있다.[4][32] 창립 멤버는 아밀카르 카브랄과 그의 형제 루이스 카브랄, 아리스티드스 페레이라, 페르난두 포르테스, 훌리오 알메이다, 엘리제 투르핀 등 6명이었다.[4] 라파엘 파울라 바르보사가 초대 당 의장을 맡았고, 아밀카르 카브랄이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4][32] 초기에는 포르투갈로부터 평화적인 독립을 추구했으나, 포르투갈 식민 당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959년 비사우 항구에서 일어난 피지귀티 학살은 PAIGC의 투쟁 노선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당시 파업 시위 중이던 항구 노동자들에게 포르투갈 식민군이 발포하여 50여 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4][32] 이 사건은 기니비사우 민중의 분노를 일으켰고, PAIGC 지도부는 평화적인 방식만으로는 독립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무장 투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PAIGC는 1959년 9월, 활동의 중심지를 이웃 나라 기니의 수도 코나크리로 옮겼다.[4][32]

1961년, PAIGC는 모잠비크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 앙골라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과 함께 포르투갈 식민지 민족주의 조직 회의(CONCP)를 결성했다. 이는 아프리카 내 포르투갈 식민지들의 독립 운동 세력이 서로 연대하고 투쟁을 조율하기 위한 조직이었다.[4]

본격적인 무장 투쟁은 1962년 3월 카보베르데프라이아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4] 이후 게릴라전은 주로 기니비사우 본토에 집중되었고, 섬나라인 카보베르데에서는 물류 문제 등으로 인해 제한적인 비밀 활동과 태업(사보타주) 위주로 전개되었다.[4] 아밀카르 카브랄은 군사력이 충분히 갖춰질 때까지 태업을 주요 저항 수단으로 삼도록 지시했다.[4]

1963년 1월 23일, PAIGC는 티테에 있는 포르투갈군 주둔지를 공격하며 기니비사우 독립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4][32] 북부 지역에서도 포르투갈군에 대한 공격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같은 달에는 FLING과 함께 풀라쿤다와 부바의 경찰서를 공격하기도 했다.[4][32]

전쟁이 진행되면서 PAIGC는 소련, 쿠바, 중화인민공화국사회주의 국가들로부터 AK-47 소총, 무반동총과 같은 무기 지원과 군사 훈련 지원을 받았다.[5][6] 특히 1966년 아밀카르 카브랄쿠바 하바나에서 열린 삼대륙 회의에 참석하여 피델 카스트로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쿠바는 포병 전문가, 의사, 기술자 파견을 약속했다. 쿠바 군사 임무는 빅토르 드레케가 이끌었다.[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도 1966년에 소량의 무기를 지원했다.[6] 또한 스웨덴과는 포괄적인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다.[8][33]

1964년 2월, 해방된 지역인 카사카에서 제1차 당 대회를 열어 당의 정치 및 군사 조직을 재정비했다. 이때 정규군인 '인민 혁명군'(FARP)과 게릴라 부대인 '인민 게릴라'를 창설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8] 또한 1969년부터는 릴리카 보알의 주도로 코나크리에 파일럿 학교를 설립하여 젊은 투사들과 전쟁 고아들을 교육했다.[7]

전쟁 중 코모 섬은 양측 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주요 격전지였다. PAIGC가 섬을 장악하자 포르투갈군은 포르투갈 공군의 F-86 세이버 전투기까지 동원한 대규모 반격 작전(트리덴테 작전)을 펼쳐 큰 희생 끝에 섬을 탈환했다. 하지만 PAIGC는 두 달도 안 되어 섬을 다시 되찾았다. 이후 PAIGC가 남부의 칸타헤즈 반도와 키타피네 반도에 새로운 거점을 마련하면서 코모 섬의 전략적 중요성은 줄어들었다.[4][32]

1967년까지 PAIGC는 포르투갈군 기지를 147차례 공격하며 포르투갈령 기니 영토의 3분의 2 이상을 실질적으로 통제하고 있었다.[4][32] 이에 위기를 느낀 포르투갈은 1968년 새로운 총독으로 안토니우 드 스피놀라를 임명하여 반격을 시도했다. 스피놀라는 학교, 병원, 주택 건설 및 도로, 통신망 개선 등 대규모 건설 사업을 통해 민심을 얻으려 했고,[4][32] 동시에 군사적으로는 1970년부터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사용했던 네이팜탄고엽제 같은 비인도적인 무기까지 동원했다.[4] 또한 그린 시 작전을 통해 인접국 기니의 수도 코나크리를 기습하여 PAIGC에 억류되어 있던 포르투갈군 포로들을 구출하기도 했다.[4]

이러한 포르투갈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PAIGC는 투쟁을 이어나갔다. 1972년 8월부터 11월까지 PAIGC는 자신들이 통제하는 지역에서 지방 의회 선거를 실시했다. 이는 과거 포르투갈 식민 당국이 실시했던 제한적인 선거와 달리, 보통 선거 원칙에 따라 치러진 최초의 선거였다. 약 78,000명의 유권자가 참여하여 97%의 압도적인 지지로 PAIGC 후보 명단을 승인했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 의회가 구성되었다.[9]

하지만 1973년 1월 20일, PAIGC의 지도자 아밀카르 카브랄이 코나크리에서 암살당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PAIGC 내부의 불만 세력이었던 해군 사령관 이노센시오 카니 등이 주도한 지도부 전복 시도의 일환이었다.[10] 그러나 이 음모는 실패했고, 카니를 포함한 관련자 10여 명이 처형되었다.[10] 지도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에도 불구하고 PAIGC는 흔들리지 않고 독립 투쟁을 계속했다.

1973년 9월 24일, PAIGC는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선언했다. 이는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어 같은 해 11월 유엔 총회에서 93개국의 찬성, 7개국의 반대로 승인되었다.[11] 이 결의안은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를 불법적인 침략과 점령으로 규정하며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인정한 것으로, 포르투갈 정부의 공식적인 승인보다 앞서 이루어진 이례적인 일이었다.[11] 이 시점까지 11년간의 독립 전쟁으로 포르투갈군 약 1,875명, PAIGC 군 약 6,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1]

2. 2. 독립 이후 (1974년 ~ 현재)

비사우에 있는 PAIGC 본부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면서 포르투갈 정부는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승인했다. 이후 PAIGC는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 양국의 유일한 합법 정당이 되었고, 아밀카르 카브랄의 동생인 루이스 카브랄이 기니비사우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1976년부터 1977년까지 일당제 하에서 두 번째 입법 선거가 치러졌다. PAIGC는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의 통일을 목표로 했으나, 1980년 11월 주앙 베르나르두 비에이라가 카보베르데 출신인 카브랄 대통령을 상대로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통합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 쿠데타로 인해 PAIGC의 카보베르데 지부는 1981년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PAICV)이라는 별도의 정당으로 분리되었다.

비에이라 정권 하에서 PAIGC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기니비사우를 계속 통치했다. 1984년과 1989년에도 일당제 선거가 실시되었으며, 비에이라는 1986년 11월 당 제4차 회의에서 PAIGC 사무총장으로 재선출되었다. 1991년 5월 다당제가 도입된 후, 1994년 첫 다당제 선거가 열렸다.[12] 총선에서는 대통령 직접 선거도 처음 실시되었는데, 비에이라는 결선 투표에서 사회 쇄신당(PRS)의 쿰바 이알라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고, PAIGC는 국민의회에서 46%의 득표율로 총 100석 중 62석을 차지하며 과반수를 확보했다.[13]

비에이라는 1998년 5월 중순에 열린 당 제6차 회의에서 438표 찬성, 8표 반대, 4표 기권으로 PAIGC 총재로 4년 임기를 다시 맡게 되었다. 이 회의에서 사무총장직은 폐지되었다.[14][12] 그러나 1998년 6월 기니비사우 내전이 발발했고, 결국 1999년 5월 비에이라는 축출되었다.[15] 며칠 후인 5월 12일, 전 총리였던 마누엘 사투르니노 다 코스타가 PAIGC 임시 총재로 임명되었다.[16] 비에이라는 1999년 9월 당 회의에서 "반역죄, 전쟁 지원 및 선동, 당 규약과 양립할 수 없는 행위"를 이유로 PAIGC에서 제명되었다. 당내 개혁파 지도자이자 과도 군사 위원회의 유일한 민간인이었던 프란시스코 베난테가 1999년 9월 9일 회의 종료 시점에 PAIGC 총재로 선출되었다.[17][18] 베난테는 군사 위원회의 지지를 받았으며, 유일한 경쟁 후보를 174표 대 133표로 이겼다.[18]

1999년 11월 총선이 치러졌고,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는 2000년 1월 16일에 열렸다. 이 선거에서 PAIGC는 처음으로 권력을 잃었다. PAIGC의 대통령 후보였던 말람 바카이 사냐는 PRS의 지도자 쿰바 이알라에게 패배했고,[15] PAIGC는 국민의회에서도 PRS와 기니비사우-바파타 저항 운동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정당으로 밀려났다.

2004년 입법 선거에서 PAIGC는 45석을 얻어 다시 제1당 지위를 회복했다.[19] 2004년 5월, 당 대표인 카를루스 고메스 주니오르가 총리가 되어 정부를 구성했다. 그러나 2005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PAIGC 후보 말람 바카이 사냐가 망명에서 돌아와 무소속으로 출마한 비에이라에게 결선 투표에서 패배했다. 비에이라는 취임 몇 주 후 카를루스 고메스 주니오르를 총리직에서 해임하고, 과거 PAIGC의 고위 간부였으나 비에이라를 지지하며 탈당했던 아리스티데스 고메스를 총리로 임명했다.

2007년 3월, PAIGC는 PRS 및 기니비사우 사회민주당과 3자 연합을 구성하여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려고 시도했다.[20] 이로 인해 아리스티데스 고메스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이 통과되었고, 그는 3월 말 사임했다. 4월 9일, 세 정당이 합의한 마르티뇨 은다파 카비가 비에이라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으며, 4월 17일에는 세 정당 소속 장관들로 구성된 새 정부가 출범했다.[21][22] 그러나 PAIGC는 2008년 2월 29일, "당의 결속과 단결을 위협하는 무질서 행위를 피하기 위해" 카비 총리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다.[23]

PAIGC의 제7차 정기 회의는 2008년 6월 가부에서 열렸다.[24] 2000년과 2005년 대선 후보였던 말람 바카이 사냐가 카를루스 고메스 주니오르의 당 대표직에 도전했지만, 고메스 주니오르가 578표 대 355표로 승리하여 5년 임기의 PAIGC 총재직을 연임했다.[25] 카비, 치프리아노 카사마, 바치루 자 등도 지도부 선거에 출마했으나 상대적으로 적은 표를 얻었다.[24][25]

카비 총리가 2008년 7월 25일 당과 상의 없이 세관, 세무, 재무 국장을 해임하자, PAIGC는 2007년 3월에 맺었던 3자 안정 협정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다.[26][27] 이에 비에이라 대통령은 카비를 해임하고 8월 5일 카를루스 코레이아를 총리로 임명했다.[28] 2008년 11월 의회 선거에서 PAIGC는 전체 의석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듬해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말람 바카이 사냐가 결선 투표에서 쿰바 이알라를 꺾고 당선되었다.

사냐 대통령이 2012년 1월 사망하면서 조기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카를루스 고메스 주니오르가 PAIGC 후보로 지명되어 쿰바 이알라와 함께 결선 투표에 진출했으나, 4월에 발생한 군사 쿠데타로 인해 선거가 중단되었다. 2014년 총선이 결국 치러졌고, PAIGC 후보 조제 마리오 바스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PAIGC는 국민의회에서도 102석 중 57석을 얻어 과반수를 유지했다.

2019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PAIGC 후보 도밍고스 시모에스 페레이라가 결선 투표까지 진출했으나 패배했다. 2023년 입법 선거에서 PAIGC는 변화를 위한 연합(UM), PCD, PSD, 기니 민주 운동(MDG) 등 여러 정당이 참여한 광범위한 연합인 '포괄적 동맹 플랫폼 – 테라 란카'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의석 과반수를 확보했다.[29]

PAIGC의 청년 조직은 '아밀카르 카브랄 청년단'(Juventude Africana Amilcar Cabralpt)이며, 여성 조직은 '기니 여성 민주 연합'(União Democrática das Mulheres da Guinépt)이다.

3. 국제 관계

1961년 아프리카의 포르투갈 식민지 독립 운동을 전개하는 주요 정당인 모잠비크의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앙골라의 앙골라 인민 해방 운동(MPLA) 및 PAIGC는 포르투갈 식민지 민족주의 조직 협의회(Conferência das Organizações Nacionalistas das Colónias Portuguesas, CONCP)를 결성하여 연대했다. CONCP 대표는 종종 국제 행사에서 이들 3개 정당을 대변하며 공동의 목소리를 냈다.

냉전 시기 동안 PAIGC는 독립 투쟁 과정에서 여러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특히 중국, 쿠바, 소련사회주의 국가들의 지원이 중요했으며, 이들 국가는 무기 지원뿐만 아니라 게릴라 병사 훈련도 담당했다.[30] PAIGC 게릴라들은 소련제 칼라시니코프나 로켓 추진 수류탄 등으로 무장했으며, 공습을 위한 일류신 Il-14 항공기 지원도 받았다. 또한, 세네갈, 기니, 리비아, 알제리,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가나 정부도 PAIGC를 지원했다.[30] 이러한 국제적 지원은 PAIGC가 포르투갈군에 맞서 장기간의 무장 투쟁을 벌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3년 9월 24일 PAIGC가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선언하자, 국제 사회의 지지가 이어졌다. 같은 해 11월 유엔 총회에서는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를 "부당한 폭력과 점령"으로 규정하고 PAIGC의 독립 선언을 지지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이는 포르투갈의 공식적인 승인에 앞서 유엔 차원에서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인정한 중요한 외교적 성과였다.

4. 비판 및 논란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의 독립을 이끈 주역인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PAIGC)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독립 이후 PAIGC는 1974년부터 1994년 첫 다당제 총선이 실시되기 전까지 기니비사우의 유일 합법 정당으로 군림했다. 이 기간 동안 장기 집권을 하며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비록 1994년 기니비사우 총선 이후 다당제가 도입되었지만, PAIGC는 여전히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며 집권과 실권을 반복했다.

PAIGC의 집권 기간 동안 기니비사우는 정치적 불안정을 자주 겪었다. 1973년에는 당의 창립자이자 독립 영웅인 아밀카르 카브랄이 내부 불만을 품은 세력에 의해 암살당하는 비극이 발생했으며, 이는 독립 운동 세력 내부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또한, 1980년에는 주앙 베르나르두 비에이라루이스 카브랄 초대 대통령을 축출하는 쿠데타가 발생했고, 1998년에는 군부 반란으로 내전이 발발하는 등 정치적 혼란이 끊이지 않았다. 2012년 대통령 선거 역시 1차 투표에서 PAIGC 후보 카를루스 고메스 주니오르가 1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2차 투표 직전 군부 쿠데타로 인해 선거 자체가 무효화되는 사태를 겪으며 정치적 불안정성을 드러냈다. 이러한 반복적인 정치적 위기는 PAIGC의 리더십과 국가 운영 능력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다.

일부 PAIGC 지도자들과 관련된 부패 문제 역시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어 왔다. 오랜 집권 과정에서 발생한 권력 남용과 부정부패 의혹은 국민들의 불신을 키우고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5. 평가

PAIGC는 1956년 마르크스주의아밀카르 카브랄의 주도로 결성되어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하에 있던 포르투갈령 기니카보베르데의 독립을 목표로 삼았다. 당시 포르투갈령 기니는 아프리카 식민지 중 가장 가난한 지역이었으나,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1959년 비사우에서 발생한 피지길리의 학살은 포르투갈 군이 항만 노동자들에게 발포하여 50명을 살해한 사건으로, 이를 계기로 PAIGC가 이끄는 민중의 독립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초기에는 평화적인 방식으로 포르투갈의 철수를 요구했으나 실패하자, PAIGC는 무력 투쟁 노선으로 전환했다.

1961년에는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앙골라 인민 해방 운동(MPLA) 등 다른 포르투갈 식민지의 독립운동 단체들과 연대하여 포르투갈 식민지 민족주의 조직 협의회(CONCP)를 결성하며 국제적 연대를 모색했다. 냉전 시기 소련, 쿠바,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무기와 훈련 지원을 받으며 게릴라전을 효과적으로 전개했다. 1963년 포르투갈에 대한 전면전을 선포하고, 1967년까지 포르투갈령 기니 영토의 3분의 2를 장악하는 등 상당한 군사적 성과를 거두며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이에 포르투갈은 1968년 안토니우 드 스피놀라를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하고, 대규모 건설 사업을 통한 회유책과 함께 군사적 공세를 강화했다. 1970년에는 포르투갈 공군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사용한 것과 유사하게 네이팜탄고엽제까지 동원하는 등 전쟁은 더욱 격렬해졌다. 이러한 가혹한 탄압 속에서도 PAIGC는 끈질기게 투쟁을 이어갔다. 1973년 1월 지도자 아밀카르 카브랄이 암살당하는 큰 위기를 맞았으나, PAIGC는 흔들리지 않고 같은 해 9월 24일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선언했다. 국제사회 역시 PAIGC의 정당성을 인정하여, 유엔 총회는 포르투갈의 부당한 점령을 비판하며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승인했다.

결정적으로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면서 포르투갈의 오랜 독재 정권이 무너지고 민주화가 진행되자, 새 정부는 더 이상 식민 전쟁을 지속할 명분과 여력을 잃었다. 결국 포르투갈 정부는 PAIGC와 협상에 나섰고, 마침내 9월 10일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다. 이로써 PAIGC는 11년에 걸친 힘겨운 무력 투쟁 끝에 독립을 쟁취했으며, 이 과정에서 약 6,000명의 PAIGC 병사가 희생되었다. PAIGC의 성공적인 독립 투쟁은 포르투갈의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앙골라, 모잠비크 등)의 독립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Coalition Strategies of Marxist Parties https://books.google[...] 1989
[2] 웹사이트 Palestine Declaration: From the river, to the sea, Palestine will be free! https://wap21.org/?p[...] 2023-11-26
[3] 웹사이트 Member parties of the Socialist International http://www.socialist[...]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Guinea-Bissau Scarecrow Press 2013
[5] BBC Television Cuba! Africa! Revolution! https://www.bbc.co.u[...]
[6] 간행물 Arsenal of the Global South: Yugoslavia's Military Aid to Nonaligned Countries and Liberation Movements https://doi.org/10.1[...] 2021
[7] 웹사이트 Lilica Boal, a eterna diretora da Escola-Piloto do PAIGC https://www.dw.com/p[...] 2014-10-17
[8] 서적 Sweden and national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Vol. 1, Formation of a popular opinion (1950–1970) http://urn.kb.se/res[...] Nordiska Afrikainstitutet 2021-12-09
[9] 서적 Multi-party Elections in Africa James Currey Publishers 2002
[10] 서적 Amílcar Cabral: Revolutionary Leadership and People's War CUP Archive 1983
[11] 웹사이트 UN Resolution http://daccessdds.un[...] United Nations
[12] 서적 Communism in History and Theory: Asia, Africa, and the America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3]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1994 http://www.ipu.org/p[...] IPU
[14] 뉴스 Guinea-Bissau: President Vieira cleared to run for re-election AFP 1998-05-14
[15]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1999 http://www.ipu.org/p[...] IPU
[16] 뉴스 Guinea-Bissau ex-president replaced as party leader RTP Internacional TV 1999-05-12
[17] 웹사이트 GUINEA-BISSAU: PAIGC chooses new chairman, expels Vieira http://www.irinnews.[...] IRIN 1999-09-10
[18] 뉴스 Guinea-Bissau party elects chairman, expels ex-president AFP 1999-09-09
[19]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2004 http://www.ipu.org/p[...] IPU
[20] 뉴스 Vieira rejects calls to dissolve government http://www.int.iol.c[...] AFP 2007-03-14
[21] 웹사이트 Guinea-Bissau appoints consensus premier http://www.iol.co.za[...] Reuters 2007-04-10
[22] 뉴스 Guinea-Bissau's new government named http://www.int.iol.c[...] Reuters 2007-04-18
[23] 뉴스 Guinea-Bissau opposition withdraws support for PM http://africa.reuter[...] Reuters 2008-03-01
[24] 뉴스 7ème congrès du PAIGC à 200 km à l'est de Bissau http://apanews.net/a[...] African Press Agency 2008-06-26
[25] 뉴스 L'ancien Premier ministre bissau guinéen Carlos Gomis, réélu président du PAIGC http://apanews.net/a[...] African Press Agency 2008-07-02
[26] 웹사이트 PAIGC retira-se de Pacto de Estabilidade Política Nacional http://www.panapress[...] Panapress 2008-07-27
[27] 웹사이트 GUINEA-BISSAU: Elections fears as unity government splits http://www.irinnews.[...] IRIN 2008-07-31
[28] 웹사이트 GUINEA-BISSAU: Uncertain future as President dissolves government http://www.irinnews.[...] IRIN 2008-08-06
[29] 뉴스 PAI–Terra Ranke é a grande vencedora das legislativas, com cinquenta e quatro deputados https://www.odemocra[...] 2023-06-08
[30] 서적 Use of Force: The Practice of States Since World War II Penn State Press 2010
[31] 웹사이트 List of member parties of the Socialist International in Africa http://www.socialist[...]
[3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Guinea-Bissau Scarecrow Press 2013
[33] 서적 Sweden and National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Solidarity and Assistance 1970-1994 Nordic Africa Institute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